본문 바로가기
상속

상속인이 절대로 하지 말아야 할 행위 : 빚을 피하는 방법

by 정하늘과바다 2024. 3. 6.
반응형

오늘은 많은 분들이 상속 과정에서 직면할 수 있는 중요한 주제를 다루려고 합니다. 상속은 언젠가는 경험하게 될 일이며, 때때로 예상치 못한 피해를 가져올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상속인으로서 절대로 하지 말아야 할 행위와 법정단순승인의 위험성에 대해 오늘 이야기를 나누고자 합니다.

 

사진: Unsplash 의 Annie Spratt


## 상속인이 절대로 하지 말아야 할 행위

1. 고인의 자산 사용 및 처분: 중요한 포인트는 상속인이 고인의 자산을 마치 자신의 것처럼 사용하거나 처분해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행위는 법정단순승인으로 간주되어 상속채무까지 모든 빚을 떠안게 될 수 있습니다.

2. 무분별한 상속승인: 상속재산과 부채를 충분히 파악하지 않고 단순승인을 하는 것은 큰 위험을 수반합니다. 고인이 사망하고 난 뒤 주민센터에 사망신고 하시면서, 안심상속 원스톱 서비스(고인의 재산 확인 서비스)를 신청하여 고인의 재산과 채무를 정확하게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

3. 침묵으로 인한 승인: 고인이 사망한 날로 부터 3개월 내에 상속포기나 한정승인을 하지 않고 침묵하는 것도 단순승인으로 간주될 수 있으니 주의 하시기 바랍니다.

 

상속인이 하면 안되는 일!
고인의 통장 예금 출금
고인 보험계약자 변경
고인의 상해보험금 수령
고인의 가해자, 채무자와 합의
고인이 보유한 채권 수령
고인의 임대차보증금 수령
고인의 임대차 재계약
고인의 재산 임의매각
고인의 재산 명의변경
기타 고인의 재산 소비


## 법정단순승인의 위험성

법정단순승인은 상속인이 상속포기 또는 한정승인을 하지 않고, 상속재산을 처분하거나 사용하는 등의 행위를 함으로써 모든 상속채무까지 자동으로 승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상속받은 재산뿐만 아니라, 개인 재산까지도 채무로 인해 위협받을 수 있기에 위험성이 매우 큽니다.

 

사진: Unsplash 의 Scott Graham

 


## 어떻게 위험을 피할 수 있을까?

1. 전문가 상담: 상속 과정은 복잡하고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상속 과정에 들어가기 전에 법률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상속재산과 부채를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2. 한정승인 및 상속포기 : 한정승인을 통해 상속인은 상속받은 재산 내에서만 채무를 책임지게 되므로 개인 재산은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상속재산과 부채의 상황에 따라 적절한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3. 기간 엄수(사망후 3개월 이내): 상속포기나 한정승인을 고려 중이라면, 법적 기한 내에 필요한 서류를 제출하고 절차를 진행해야 합니다. 기간을 놓치게 되면 법정단순승인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사진: Unsplash 의 Alexander Grey

 

 

만약 피상속인의 빚이 많은 줄 모르고 있다가 뒤늦게 알게 되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때는 특별한정승인이라는 제도를 이용하면 됩니다.

 

##특별한정승인 신청 기간

특별한정승인은 채무초과사실을 안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가정법원에 신고하여야 합니다. 하지만 예외적으로 상속인이 상속채무가 상속재산을 초과하는 사실을 중대한 과실 없이 알지 못하고 단순승인을 한 경우에는 그 사실을 안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한정승인을 할 수 있습니다.

 

##이미 사망한 사람에게도 특별한정승인을 신청할 수 있나요?

네, 이미 사망한 사람에게는 원칙적으로 적용되지 않지만, 상속인이 미성년자인 경우나 상속인이 외국에 거주하는 경우 등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제한 없이 인정됩니다.

 

사진: Unsplash 의 Sebastián León Prado


상속받는 것은 대부분의 경우 기쁜 일이지만, 그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산뿐만 아니라 부채도 상속되는 법률의 현실 속에서, 지혜로운 상속인이 되기 위한 첫걸음은 위험을 인식하고 적절하게 대응하는 것입니다. 여러분의 미래와 가족의 안녕을 위해, 이 글이 여러분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