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누수피해

리모델링 후 발생한 누수, 우리집 성형수술 전 건강검진 부터 해야한다

by 정하늘과바다 2024. 11. 22.
반응형

사람이 성형수술을 받기 전에 건강 상태를 점검하듯,

건물 역시 리모델링이나 인테리어를 하기 전 내부 구조를 꼼꼼히 점검해야 합니다.

특히 배관과 전기 시스템 같은 내부 기능을 무시하고 외형만 바꾸다가는 예상치 못한 비용과 문제를 떠안게 될 수 있습니다.

 

빌라 건물 리모델링 이후 누수로 천장 젖은 사진
빌라 건물 리모델링 이후 윗집 누수로 모든 천장이 젖어있는 사진

 


1. 건물의 구조는 사람과 같다

건물을 사람에 비유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 골조(건물의 기본 구조)
  • : 내·외장 인테리어
  • 내장기관 : 배관, 전기배선

우리가 사람의 외모만 보고 건강 상태를 단정할 수 없듯, 건물도 외관만 보고 기능 상태를 판단할 수 없습니다. 외형적인 아름다움에 치중하다가는 배관이나 전기 문제로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배관 점검을 무시한 리모델링의 결과

사례 1: 성남 아파트 - 베란다 확장 후 누수

한 아파트에서 리모델링 후 아래층으로 심각한 누수가 발생했습니다.

  • 원인: 리모델링 과정에서 오래된 배관을 무시한 채 공사를 진행.
  • 결과: 오래된 배관이 누수 문제를 일으켜 수천만 원을 들인 공사를 다시 뜯어야 하는 상황 발생.

이 사례는 인테리어 공사가 외부 모습만 개선했을 뿐, 내장기관(배관)의 상태를 무시한 탓에 생긴 전형적인 문제입니다.

 

 

윗집 리모델리 이후 베란다 누수
윗집 리모델링 이후 발생한 베란다 누수 사진

 

 

사례 2: 노원 아파트 - 1층 천장 누수

1층 세대에서 인테리어를 진행한 후 천장이 휘고 벽지가 부풀어 올랐습니다.

  • 원인: 위층의 배관 누수가 오래전부터 진행되었으나 이를 무시하고 공사 강행.
  • 결과: 이미 문제가 있는 상태에서 진행된 공사로 인해 더 큰 비용 발생.

배관이 강관으로 만들어진 오래된 건물에서는 녹슬거나 누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이를 무시한 공사는 실패할 확률이 큽니다.

 

 

천장 누수로 인해 전등안에 물이 고여 있음
천장 누수로 인해 전등 안에 물이 고여있는 사진


 

3. 배관 점검의 중요성

배관은 눈에 잘 띄지 않지만, 건물의 기능성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1. 오래된 배관(강관, 단종된 자재)은 교체가 필요합니다.
  2. 누수는 시간이 지날수록 주변에 악영향을 끼치며, 건물의 구조까지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3. 리모델링 전 반드시 배관 점검을 통해 내구성을 확인해야 합니다.

 

배관 점검 방법

  • 보일러실 점검: 보일러 아래의 배관이 강관(녹슬 가능성 있는 철재)인지 확인합니다.
  • 이상 징후 확인: 물이 새거나 벽지가 부풀어 오른 곳은 즉시 전문가를 불러 점검을 받으세요. 
  • 전문가 상담: 배관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교체 계획을 세우세요.

4. 리모델링을 안전하게 진행하려면?

 

  1. 기능 점검을 우선시하기
    •   배관, 전기배선, 난방 등 내장기관을 철저히 확인하세요.
  2. 전문업체와 협업
    •   인테리어 시공업체에 배관 점검을 요청하거나, 배관 전문 업체와 함께 작업을 진행하세요.
  3.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
    •   부분 수리로 문제를 덮기보다, 전체 교체를 통해 향후 발생할 문제를 미리 예방하세요.

 

 


건물의 외면 보다 내면의 건강이 우선

건물 관리에서 외관만 신경 쓰다가는 기능상의 큰 문제를 놓치기 쉽습니다.

리모델링을 계획하고 있다면, 내부의 건강(배관, 전기)을 먼저 점검하세요.

 

건강한 몸이 아름다운 외모를 만든다는 말처럼,

튼튼한 배관과 구조가 건물의 진정한 가치를 높이고 누수를 예방하는 길입니다.

 

 

 

리모델링 누수 사진

반응형